맨위로가기

USA (음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SA》는 1975년 킹 크림슨의 라이브 앨범으로, 1974년 미국 투어 중 녹음된 음원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앨범은 데이비드 크로스를 포함한 4인조 라인업으로 진행된 투어의 녹음을 편집하여 발매되었으며, 록시 뮤직의 에디 잡슨이 참여하여 바이올린과 피아노 오버더빙을 추가했다. 앨범 커버는 윌리 크리스티의 사진을 사용했으며, 존 웨튼의 아이디어로 자유의 여신상에서 영감을 얻었다. 앨범에는 "Larks' Tongues in Aspic (Part II)", "21st Century Schizoid Man" 등 킹 크림슨의 대표곡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2002년 CD 재발매에는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킹 크림슨의 라이브 음반 - Meltdown: Live in Mexico City
    Meltdown: Live in Mexico City는 2017년 7월 멕시코시티 콘서트 실황을 담은 킹 크림슨의 라이브 앨범으로, 확장된 라인업으로 연주한 곡들과 토니 레빈과 제레미 스테이시의 카덴차 연주가 담겨 있으며, 세 번째 디스크에는 2018년 유럽 투어 실황이 추가되어 있다.
  • 킹 크림슨의 라이브 음반 - Absent Lovers: Live in Montreal
    Absent Lovers: Live in Montreal은 1984년 몬트리올에서 열린 킹 크림슨의 라이브 공연 앨범으로, 1980년대 킹 크림슨 라인업의 특징적인 연주 스타일과 다양한 음악적 스펙트럼을 담아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1975년 라이브 음반 - Live! (밥 말리 & 더 웨일러스의 음반)
    1975년 7월 런던 라이시엄 극장에서 밥 말리 & 더 웨일러스의 공연 실황을 녹음한 라이브 음반 Live!는 'No Woman, No Cry' 라이브 버전을 통해 큰 인기를 얻으며 평론가들의 긍정적 평가와 함께 여러 국가에서 판매량 인증을 받았다.
  • 1975년 라이브 음반 - ...Is It Something I Said?
    리처드 프라이어가 1975년에 발표한 코미디 앨범인 ...Is It Something I Said?는 1976년 그래미상 최우수 코미디 앨범상을 수상하고 CD로 재발매되었으며,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Pop (U2의 음반)
    1997년 발매된 U2의 9번째 스튜디오 앨범 《Pop》은 전자 음악과 샘플링을 활용한 실험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긍정적 평가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멤버들은 최종 결과물에 실망했고, 앨범의 실험적인 시도는 U2의 음악적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Boy (음반)
    U2의 데뷔 음반 《소년 (Boy)》는 스티브 릴리화이트가 프로듀싱하고 10대의 사춘기 전환을 주제로 실험적인 사운드 효과를 특징으로 하며, "I Will Follow"와 같은 싱글을 통해 상업적인 성공과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U2의 독창적인 사운드를 확립했다.
USA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발매일1975년 4월
녹음일1974년 6월 28일, 30일
녹음 장소Casino Arena, 미국 뉴저지주 애즈베리 파크
Palace Theatre,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장르프로그레시브 록
프로그레시브 메탈
헤비 메탈
길이38분 48초
67분 18초 (2002년 재발매)
레이블아일랜드
애틀랜틱
프로듀서킹 크림슨
이전 음반Red (1974)
다음 음반Discipline (1981)
킹 크림슨 - USA 음반 커버
USA 음반 커버
평가
Christgau's Record GuideB+

2. 상세

《USA》는 1974년 킹 크림슨의 미국 투어 중 녹음된 라이브 음원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1975년, 킹 크림슨의 매니지먼트 회사였던 EG 매니지먼트는 《Red》 제작 전, 데이비드 크로스를 포함한 4인조 라인업으로 진행했던 미국 투어의 라이브 앨범을 발표하기로 결정했다.[8] 로버트 프립존 웨튼과 함께 투어 녹음을 검토하여 1974년 6월 28일 아스베리 파크 공연과 6월 30일 윌밍턴 공연 녹음을 선택했다.

이후 록시 뮤직의 에디 잡슨을 초청하여 "태양과 전율 파트 II"와 "21세기 스키조이드 맨"의 바이올린, "Lament"의 피아노 오버더빙을 진행했다. "태양과 전율 파트 II" 시작 부분에는 프립과 브라이언 이노의 앨범 《No Pussyfooting》 수록곡 "The Heavenly Music Corporation"의 일부가 사용되었다.

현재 로버트 프립이 운영하는 음반 회사 "디시플린 글로벌 모빌"에서 오버더빙 전 음원을 유료로 배포하고 있으며, 컬렉터 음원으로 CD화되기도 했다. 2013년에는 40주년 기념반 CD+DVD가 발매되었는데, CD에는 편집 전 아스베리 파크 공연의 새로운 믹스가, DVD에는 편집 전 아스베리 파크 공연과 2002년 CD화된 《USA》 음원이 수록되었다.

2. 1. 커버

커버는 영국의 패션 사진작가이자 영화 감독인 윌리 크리스티의 사진으로, 그는 프립 & 이노의 앨범 ''No Pussyfooting''의 커버 사진도 촬영했다. 커버에 대한 아이디어는 존 웨튼으로부터 나왔으며, 자유의 여신상에서 영감을 받았다.[8]

3. 곡 목록

《USA》 음반의 곡 목록은 다음과 같다.

Side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Side oneWalk On... No Pussyfooting브라이언 이노, 로버트 프립0:35
Larks Tongues in Aspic (Part II)로버트 프립7:03
Lament로버트 프립, 존 웨튼, 리처드 파머제임스4:21
Exiles데이비드 크로스, 로버트 프립, 리처드 파머제임스7:09
Side twoAsbury Park데이비드 크로스, 로버트 프립, 빌 브루포드, 존 웨튼7:06
Easy Money로버트 프립, 존 웨튼, 리처드 파머제임스6:41
21st Century Schizoid Man로버트 프립, 마이클 자일스, 그렉 레이크, 이언 맥도널드, 피터 신필드8:40
30주년 기념 CD 보너스 트랙Fracture로버트 프립11:19
Starless데이비드 크로스, 로버트 프립, 존 웨튼, 빌 브루포드, 리처드 파머제임스14:55


  • LP 기준 재생 시간이며, 30주년 기념 CD에는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고 곡 순서와 재생 시간에 차이가 있다.

3. 1. Side One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Walk On... No Pussyfooting브라이언 이노, 로버트 프립0:35
Larks Tongues in Aspic (Part II)로버트 프립7:03
Lament로버트 프립, 존 웨튼, 리처드 파머제임스4:21
Exiles데이비드 크로스, 로버트 프립, 리처드 파머제임스7:09


3. 2. Side Two

Side two는 다음 세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Asbury Park데이비드 크로스, 로버트 프립, 빌 브루포드, 존 웨튼6:54
Easy Money로버트 프립, 존 웨튼, 리처드 파머제임스7:12
21st Century Schizoid Man로버트 프립, 마이클 자일스, 그렉 레이크, 이언 맥도널드, 피터 신필드8:11


  • 2002년 CD 재발매판 기준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3. 3. 30주년 기념 CD 보너스 트랙 (2002년 CD 재발매)

2002년 재발매된 CD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Fracture〉와 〈Starless〉가 추가되었다.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Fracture로버트 프립11:19
Starless데이비드 크로스, 로버트 프립, 존 웨튼, 빌 브루포드, 리처드 파머제임스14:55


4. 참여 멤버

멤버역할
로버트 프립전기 기타, 멜로트론, 호너 피아넷
존 웨튼베이스 기타, 보컬
데이비드 크로스바이올린, 비올라, 멜로트론, 호너 피아넷
빌 브루포드드럼, 타악기
에디 잡슨바이올린 오버더빙 (1, 6), 호너 피아넷 오버더빙 (2) (오리지널 버전 한정)[6]



원문에서 중복되는 정보를 제거하고, 하위 섹션에 이미 상세하게 기술된 킹 크림슨 멤버와 추가 연주자 정보를 표 형태로 간결하게 정리했다. 역할 정보도 원문에 기반하여 표에 포함시켰다.

4. 1. 킹 크림슨



; 추가 연주자

  • 에디 잡슨 – 바이올린 오버더빙 (1, 6), 호너 피아넷 오버더빙 (2) (오리지널 버전 한정)[6]

4. 2. 추가 연주자


  • 에디 잡슨 – 바이올린 오버더빙 (1, 6), 호너 피아넷 오버더빙 (2) (오리지널 버전 한정)[6]

5. 제작진

참여자역할
로버트 프립전기 기타, 멜로트론, 호너 피아넷
존 웨튼베이스 기타, 보컬
데이비드 크로스바이올린, 비올라, 멜로트론, 호너 피아넷
빌 브루포드드럼, 타악기
에디 잡슨바이올린 오버더빙 (1, 6), 호너 피아넷 오버더빙 (2) (오리지널 버전 한정)[6]
제작진역할
조지 치키안츠녹음 엔지니어
피터 월슬리, 크리스 케틀, 텍스 리드, 하비 베이커, 닉 벨로드 팀
니콜라스 드 빌커버 디자인
윌리 크리스티사진
밥 보켓, C.C.S.타이포그래피
조 피조, 데이비드 징크, 라일리 잭슨 (텍사스 라마 대학교)킬리안 사진
딕 프레이저특별 감사


6. 차트

1975년 당시 앨범의 차트 기록은 다음과 같다.

차트 (1975년)최고 순위
일본 음반 (오리콘)[7]52
빌보드 200125


참조

[1] 서적 Great Rock Discography https://archive.org/[...] Canongate Press 1995
[2] 웹사이트 USA - King Crimson | AllMusic http://www.allmusic.[...] AllMusic 2011-06-28
[3]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2-28
[4] 웹사이트 King Crimson - USA Album Reviews, Songs & More {{!}} AllMusic https://www.allmusic[...] 2023-10-29
[5] 웹사이트 USA - the Long View https://www.dgmlive.[...] 2016-11-03
[6] 웹사이트 USA - The Long View https://www.dgmlive.[...] 2024-10-16
[7]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8] 문서 ウェットンはキング・クリムゾンの解散後、ロキシー・ミュージックの準メンバーとして彼等のツアーに参加していた。
[9] 웹인용 USA - King Crimson | AllMusic http://www.allmusic.[...] AllMusic 2011-06-28
[10]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